사회복지행정의 특성,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사회복지행정의 전망
사회복지 업무에서는 일반행정에서 고려되는 능률성, 경제성보다는 형평성, 사회정의, 도덕성, 서비스 효과 등에 중점을 둔다. 사회복지행정은 이윤추구나 권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욕구 충족의 우선순위와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조직을 통해 실천되는 과정으로 조직을 유지하는 최고 관리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귤릭(Luther Gulick)과 어윅(Lyndall Urwick)은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소가 객관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했으며, 최고관리층의 기능을 POSDCoRB로 판단했다. POSDCoRB는 기획(Planning), 조직(Organization), 인사(Staffing), 지시(Directing), 조정(Coordinationg), 보고(Reporting), 예산(Budgeting)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평가(Evaluation)을 추가해 POSDCoRBE를 사회복지행정의 과정으로 본다.
사회복지행정은 복지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 방식과 그 질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복지정책과 복지서비스의 가교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제도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복지행정도 변화하고 있다. 사회복지제도의 환경의 변화로는 정상화 이념의 확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생활상 문제의 다양화와 복잡화 증대, 복지 이념과 복지 니즈의 변화, 공공조직과 비영리조직의 위기의식 증대 등이 있다.
이 중 ‘정상화’(Normalization)란 벵크 미켈슨에 의하면, 사회에서 추구하는 가장 중요하고 높은 인간의 가치와 그 맥을 같이 하면서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인간의 존엄성, 권리, 개인의 가치, 개인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보장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정상화란 정상적인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환경을 더욱 중요하게 한다는 의미이며, 다음과 같은 환경을 강조한다.
* 일상적인 생활의 리듬
*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서 정상적인 발달 경험인생주기에서 선택의 자유
* 정상적인 이웃과 같이 하는 정상적인 가정에서의 삶
* 지역사회에 통합되는 삶
하센펠트(Hasenfeld, 1996)는 사회복지행정의 새로운 관리 전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① 새로운 조직유형의 발생
② 재정적 관리의 우세와 전문 직업의식의 쇠퇴
③ 마케팅과 사회적 관계
④ 변화된 리더십과 네트워크 구조
⑤ 서비스 기술 혁명
⑥ 내부적인 조정과 관리 요청
⑦ 다양한 노동인구와 다문화적인 조직 등장
⑧ 클라이언트 중심의 관계 강조
마틴(Martin, 2000)이 주장하는 사회복지행정의 새로운 관리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경쟁행위 강화와 민영화 증대
② 재구조화의 요청과 마케팅 활성화
③ 기업가적 경영 및 질적 관리의 중시
④ 결과에 대한 강조와 전략적 기획의 중시
⑤ 옹호의 강조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강조
'도전!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론(2) │ 아동복지의 개념 (0) | 2021.09.24 |
---|---|
아동복지론(1) │ 사회환경과 아동 (0) | 2021.09.23 |
사회복지행정론(1)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0) | 2021.09.21 |
사회복지실천기술론(2) │ 사회복지 전문직과 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1.09.20 |
사회복지실천기술론(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괄 (0) | 202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