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2) │ 사회복지 전문직과 사회복지실천현장

도전!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2) │ 사회복지 전문직과 사회복지실천현장

열정은 이미 피아니스트 2021. 9. 20. 09:00
728x90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와 사회복지 실천윤리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에 대해 그린우드(Greenwood, 1957)체계적인 이론, 전문직의 권위, 사회적인 승인(재가), 윤리강령, 전문직 문화가 전문직의 속성이라고 규정했다.

전문직 가치는 어떠한 직업이 전문직으로 인정되는 과정에서 그 전문직의 독특한 실천활동과 관련해 요구되는 가치이다. 그러나, 전문가로서 갖는 가치와 무관하게 사회복지사는 한 인간으로서 자신만의 개인적 가치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적 가치와 전문가로서의 가치가 충돌해 전문가로서의 업무수행에 윤리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가치는 어떤 행동이 좋고 나쁘며,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다. 또한, 믿음이나 신념 같은 것으로 인간이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데 있어서의 지침이나 기준이다.

윤리는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하는 규범의 총체이며, 행동화된 가치이다. 가치가 행동으로 표출되었을 때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가치는 무엇이 옳고 바람직한가와 관계되는 반면, 윤리는 무엇이 옳고 그름을 다룬다. 윤리는 가치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치와 조화를 이뤄야 한다.

728x90

Reamer(1995)는 사회복지 실천윤리의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의 가치간과 클라이언트, 동료 전문가 등 다른 사람들의 가치관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회복지 실천윤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윤리는 윤리적 갈등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하며, 서로 다른 가치관들 사이의 관계정립 또는 위계 설정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아울러 시대적 동향에 맞는 가치를 정립하기 위해서,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개발하거나 전문가의 전문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도 사회복지 실천윤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982 1월에 제정되었으며, 2001 12월에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3차 개정이 이루어졌다. 전문과 6항의 윤리기준은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자세는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클라이언트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자신 및 클라이언트의 수용, 따뜻한 인간미, 적절한 대인관계기술, 비차별적인 사고 태도 행동, 비심판적인 태도, 클라이언트에 대한 존경(인간의 존엄성 존중)이다.

728x90